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책세상 블로그
[함께 읽기] 잠정적 유토피아? 유토피아는 있다! 본문
뷔리당의 당나귀, 이것이냐 저것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_ 당나귀의 양옆에 똑같은 거리를 두고 똑같은 맛과 똑같은 냄새를 가진 풀 더미를
쌓아놓는다. 어느 한쪽을 선택해 움직여야 하는데, 당나귀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
고 낑낑 앓다가, 끝까지 아무 선택도 못하고 결국 심한 굶주림의 고통 속에서 죽었다.
쌓아놓는다. 어느 한쪽을 선택해 움직여야 하는데, 당나귀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
고 낑낑 앓다가, 끝까지 아무 선택도 못하고 결국 심한 굶주림의 고통 속에서 죽었다.
우리가 잊고 있는 부동의 사실 하나가 있다. 당나귀도 인간도 그 존재의 본질은 ‘합리적 계산기’가 아니라 ‘행동으로 삶을 펼쳐내는 존재’라는 것이다. 이 점이야말로 비그포르스가 미국의 프래그머티즘 철학자 존 듀이에게 깊이 영향 받은 부분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계산으로 행동의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해도 당나귀든 인간이든 삶을 멈추지 않는다. 당나귀는 어느 쪽으로건 움직여서 그야말로 ‘먹고 보자’라는 행동으로 삶을 펼쳐낼 것이다. 당나귀보다 머리가 좀 좋고 식탐은 훨씬 많은 나 같은 인간이라면 ‘둘 다 먹으면 되지 뭐’라고 생각해 이쪽저쪽을 오가며 거침없이 먹어대는 행동으로 삶을 펼쳐낼 것이다. 1
따지고 보면 인간이 이러한 존재이기 때문에 삶이 가능해진다. 당신은 열여덟이나 열아홉의 나이쯤에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에 있었을 것이다. 직업을 갖고 결혼을 할 나이에도 그랬을 것이다. 그때 당신은 이 삶 혹은 저 삶을 선택할 경우 어떤 대가를 치러야 하며 어떤 행복을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 충분히 알고 있었던가. 불확실성과 불안함 때문에 아무 선택도 하지 못하고 뷔리당의 당나귀처럼 그냥 그 자리에 서 있었던가. 그렇지 않다. 미래에 어떤 일들이 벌어질지 모르는 상황이지만 우리는 자신이 원하는 ‘가상의 미래’라는 것을 얼기설기하게라도 엮어놓고 그것을 계획 삼아 삶을 펼쳐왔다. _315쪽
비그포르스가 말하는 유토피아는 보이지도 않는 ‘미래’로부터 날아와 우리 머릿속에 뚝 떨어진 그런 유토피아가 아니라, 철두철미하게 ‘현재’로부터 생겨나고 또 ‘현재’에 발을 딛고 있는 유토피아이다. 따라서 그가 생각하는 미래 또한 현재와 저만치 뚝 떨어져 있는 미래가 아니라, 현재에 살고 있는 우리가 머릿속에 그려내 앞으로 투사해보는 ‘가상의 미래’이다. _322쪽
우리는 얼마든지 사회를 바꿔나가는 작업에 착수할 수 있다. 그렇게 그려낸 사회는 아직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유토피아이지만, 현실과 동떨어진 그런 ‘아무 데도 없는 곳u-topia’은 아니다. _325쪽
ㅡ홍기빈, <비그포르스, 복지 국가와 잠정적 유토피아>(책 소개 보러가기 >>)
-
이 문장들을 읽으면서 전, 가슴이 뛰었습니다.
'무차별indifferent'한 조건 속에서 무기력해지더라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현실 속에서 좌절하더라도, 우리는 '행동으로 삶을 펼쳐내는 존재'로서 살아갑니다. 우리가 원하는 '가상의 미래'를 그리고, 삶을 겪은 뒤에는 처음 생각해던 그 가상의 미래가 얼마나 현실과 동떨어진 것인지 진저리가 나도록 깨닫게 되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삶을 멈추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또 다시 삶을 계속하죠.
우리가 몇 번의 좌절을 겪었는지 이제 셀 수도 없을 것 같습니다,만, 우리가 삶을 계속하는 한, 행동으로 삶을 펼쳐내고 함께 움직이는 한, 우리가 그려낸 사회 '유토피아'는 '유토피아u-topia'가 아니겠지요, 두근.
우리는 몇십 년, 몇백 년 후에나 찾아올 낙원을 준비하며 살아가는 것이 아니다.
낙원이란 인류 역사의 시작에도 없었고 마지막에도 없을 것이다. ㅡ비그포르스
_편집부 쥬
† 관련 기사 보기
한겨레, 스웨덴 복지모델의 아버지를 만나다
경향신문, '복지국가의 정치경제학' 전형 제시한 비그포르스
시사인, 복지국가가 궁금해? 비그포르스를 봐!
프레시안, 지옥행 급행열차 FTA! 생존 티켓을 끊으려면
경향신문, '복지국가의 정치경제학' 전형 제시한 비그포르스
시사인, 복지국가가 궁금해? 비그포르스를 봐!
프레시안, 지옥행 급행열차 FTA! 생존 티켓을 끊으려면
† 덧.
책세상 블로그 오픈 기념 이벤트 중입니다. 오늘 함께 읽은 이 책도 상품 도서예요. 많은 참여 바랍니다~ 오늘(11월 30일)까지!
2011/11/25 - [책세상 이야기/오늘 책세상은] - 책세상 블로그 오픈 기념 도서 증정 이벤트!
- 비그포르스는 1932년부터 17년 동안 재무부 장관으로 재직하면서 스웨덴의 정치․경제 모델을 주도적으로 건설한 이론가이자 정치가였다. 그는 대공황기에 세계 최초로 케인스주의적인 대안적 경제 모델을 제시해 1932년 총선거에서 사민당의 승리를 이끌었다. 적극적인 수요창출 정책을 통해 공황을 성공적으로 극복하는 데 핵심 역할을 맡았을 뿐만 아니라 묄레르 등과 더불어 복지 국가의 초석을 다졌다. “20세기의 가장 성공적인 사회(민주)주의자”로 불리는 비그포르스의 사상과 실천에서 가장 중요한 혁신이 바로 ‘잠정적 유토피아 provisoriska utopier / provisional utopia’라는 개념이다. 현실의 객관적 상황이나 사람들이 삶 속에서 느끼는 고통과 열망 그리고 이들이 꿈꾸는 세상의 모습에 주목했다. 이를 바탕으로 ‘언젠가 도래할 유토피아’가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실현 가능한 유토피아’를 제시하고 이를 혁신적인 정책으로 구체화했다. 그에 따르면 이념과 현실을 바탕으로 유효한 정책을 만들고 그것들이 총체적으로 실현되었을 때의 사회의 모습, 즉 잠정적 유토피아의 비전을 제시해 대중의 마음속에 잠재된 열망을 정치운동으로 폭발시키는 것이 정당의 임무이이다. [본문으로]
'책세상 책읽기 > 지구정치경제와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자유주의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ㅡ<신자유주의의 탄생> 저자 강연 동영상 (2) | 2012.02.06 |
---|---|
아버지는 말하셨지, 미안은 하지만 원망은 말라고 (0) | 2011.12.09 |
[함께 읽기] 잠정적 유토피아? 유토피아는 있다! (2) | 2011.11.30 |
오늘 지구 정치 경제는 어디로 가는가 (0) | 2011.11.25 |
<한국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형성> 우리 삶을 바꾼 신자유주의, 어떻게, 누구에 의해 만들어졌는가 (0) | 2011.11.25 |
<비그포르스, 복지 국가와 잠정적 유토피아> 우리에게 필요한 ‘복지 국가의 정치경제학’을 위하여 (0) | 2011.11.22 |
공유하기 링크
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