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국 경제 (3)
책세상 블로그
한국 신자유주의의 교훈 ㅡ자본과 국가의 독재를 넘어 경제적 의사결정의 민주화로 2012년 2월 11일 김진균 기념사업회의 제8회 김진균상 학술부문에 저희 GPE 총서 의 저자이신 지주형 선생님께서 수상하셨습니다. 그간 애쓰신 선생님께 축하의 말씀 전하며, 이 책을 낼 수 있었던 기쁨과 의미를 독자 분들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 김진균상은 행동하는 지성의 표본이었던 김진균 선생의 뜻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김진균 선생은 진보적 학술운동과 교수운동의 대부로 아카데미를 지키시면서도 또한 민중운동의 한복판에서 민중의 벗으로 계셨습니다. 그래서 이 상이 더 값지게 느껴지는 것이겠지요. 김진균상은 매년 학술부문과 사회운동부문에서 각1인을 선정하여 매년 2월 중순 기념사업회 정기총회에서 시상합니다. 선정..
한국 신자유주의 여전히, 가열히 진행 중 지난 11월 22일. 한미 FTA 비준안 국회 본회의 통과 97년 11월 21일. 한국 정부의 IMF 구제금융 공식 요청 신청 FTA랑 IMF가 무슨 상관인지 궁금하실 분들도 있겠지요. IMF 위기를 결정적 계기로 한국 자본주의는 신자유주의적 대전환을 이뤘습니다. 이후 한국 신자유주의는 사회경제적 불평등, 양극화, 실직과 해고의 상시화 등 우리의 삶을 바꿨죠. 극단적으로 낮아진 출산율, 극단적으로 높아진 자살률로 대표되는 신자유주의적 삶? 아..사실은 저, 잘 모릅니다. 다만, IMF가 내 삶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는 말할 수 있을 것 같아요. IMF 이후 모 기업에 다니던 아버지가 구조조정으로 정리해고를 당하셨습니다. 여러 차례에 걸친 정리해고에도 불구하고 그 ..
우리의 삶과 사회를 바꾼 한국 신자유주의는 어떻게, 누구에 의해서 만들어졌는가? 1997년 11월 21일. 한국 정부 IMF 구제 금융 공식 요청. IMF 위기 이후의 위기관리와 구조조정 과정을 통해 한국 자본주의는 신자유주의적 전환을 이루었다. 오늘날 지구 곳곳에서 신자유주의 붕괴의 징후가 드러나고 있지만,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양극화의 심화, 실직과 해고의 상시화, 성장잠재력 약화, 삶의 질 저하 등 현재 한국 사회의 모습은 많은 부분 신자유주의적 구조에 포박되어 있다. ‘한국 신자유주의’는 개인의 삶을 바꾸고 한국 정치경제의 구조와 사회 현실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대체 무엇 때문에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한국의 신자유주의적 삶의 기원은 무엇이고 그것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한국 자본주의는 누구에 ..